본문 바로가기
시장 분석

미국 경제지표와 외환시장간 상관관계

by 스윙트레이더 2023. 11. 17.
반응형

1. 생산자 물가지수 (Producer Price Index, PPI)

 

생산자 물가지수 (PPI)는 생산자가 시장에 판매한 가격 변동 측정을 지수화한 자료입니다. 생산자가 판매하는 상품의 가격이 곧 소비자 가격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소비자 물가지수 및 인플레이션을 미리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선행지표입니다.

 

실제 수치가 예상치보다 높은 경우 미 달러화 가치가 강세를 보일 정망이며 반대로 낮은 실제 수치는 약세를 보일 것을 의미합니다.

 

2. 미국 미 시간대 소비자 심리 지수 (Consumer Sentiment Index, CSI)

 

미 시간대 소비자 심리지수 (CSI)는 미 시간 대학교에서 매월 소비자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현재 및 향후 경제 사항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기준 월 대비 수치가 높으면 향후 경제 전망이 전월보다 좋을 거라고 보는 사람들이 많다 는 것을 뜻합니다.

 

예상 수치보다 실제 수치가 높게 발표된 경우 향후 미 달러화 강세를 반대로 예상 수치보다 실제 수치가 낮게 나온 경우 약세를 보일 가능성이 평균적으로 높습니다.

 

3. 필라델피아 연 제조업 활동 지수((Philladelphia Manufacturing Index)

 

필라델피아의 연준 지역의 200에서 300개 사이의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필라델피아 지역의 기업 경기 전반의 상황을 상대적으로 평가하는 자료 수치입니다. 이 수치가 0보다 높을 경우 경기 상승세임을 하지만 0보다 낮을 경우 경기 불황세를 나타냅니다.

 

실제 수치가 예상치보다 높을 경우 미 달러화가 평균적으로 강세를 나타낼 것을 뜻하며 반대로 낮은 경우 약세를 보일 전망입니다.

 

4. 국내총생산 (Gross Domestic Product, GDP)

 

국내 총생산(GDP)은 한 국가 경제에서 생산한 재화와 용역의 총 가치를 합한 것으로 1년 기준으로 측정한 데이터입니다. 한 국가의 경제 상황을 가장 일차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경제 지표입니다.

 

실제 수치가 예상치보다 높으면 미 달러 강세 전망을 그 반대일 시 미 달러 약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5. 개인소비지출 (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 PCE)

 

개인소비지출(PCE)는 미국 전역에 있는 모든 개인들이 소비한 물건 혹은 서비스의 총 가격을 측정한 것이며 인플레이션을 파악하는데 제일 먼저 이용되는 경제지표이다.

 

평균적으로 예상 수치보다 실제 수치가 높을 경우 미 달러화가 강세가 예상되며 실제 수치가 낮을 경우 약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6. 구매 관리자 지수 (Purchasing Manager’s Index, PMI)

구매 관리자 지수는 제조업에서 물건 구매를 담당하는 관리자의 활동 수준을 측정한 지표로 향후 경기를 긍정적으로 전망하고 있는지 부정적으로 전망하는지를 앞서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선행지표입니다. 즉 경기를 좋게 판단한다면 물건 구매 관리자는 원자재 구입량을 늘릴 것이고 나쁘게 판단하면 그 반대가 될 것입니다.

실제 수치가 예상치보다 높을 경우 향후 미 달러화가 강세를 보일 것으로 보이며 낮은 경우 약세를 보일 것을 의미합니다.

7. 제조업 수주 (Factory Orders)

제조업 수주는 제조업 분야에서 공장들의 신규 구매 수주의 총액 변화를 측정한 데이터입니다. 제조업 수주액의 증가는 미국 경제가 더 좋은 방향을 보일 것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실제 수치가 예상치보다 높은 경우 미 달러화 가치가 강세를 보일 정망이며 반대로 낮은 실제 수치는 약세를 보일 것을 의미합니다.

8. 소매 판매 (Retail Sales)

미국 소매 판매 지수는 미국 상무부가 소매상의 월 총매출을 집계한 지표이며 전월 대비 소매 판매가 어떻게 변하였는지 소매 판매액의 인플레이션 변동성을 측정으로 활용 대는 지표로 볼 수 있습니다.

실제 수치가 예상치보다 높을 경우 미 달러화가 평균적으로 강세를 나타낼 것을 뜻하며 반대로 낮은 경우 약세를 보일 전망입니다.

9. 산업 생산 (Industrial Production)

미국 연방 전부(Fed)가 미국의 제조업체가 생산하는 양의 변동성을 계량화하여 보여주는 금리 정책의 근거 자료로 사용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산업 생산의 증가는 경제 성장이 가속화 될 것을 의미하며 미 달러화 상승에도 영향을 줍니다.

실제 수치가 예상치보다 높을 경우 향후 미 달러화가 강세를 보일 것으로 보이며 낮은 경우 약세를 보일 것을 의미합니다.

10. 내구재 수주(Durable Goods Orders)

내구재 수주는 운송 및 유통 분야를 제외한 내구재를 생산하는 제조업들이 한 달 동안의 주문(수주)량을 집계한 데이터입니다. 내구재 수주가 전월 대비 늘었났다는 것은 제조업의 현황과 기업의 재무 상황이 확장되고 있어 경기 전망도 긍정적일 것임을 암시합니다.

실제 수치가 예상치보다 높을 경우 미 달러화가 평균적으로 강세를 나타낼 것을 뜻하며 반대로 낮은 경우 약세를 보일 전망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