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선물 데이터는 지속적인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개미투자자들의 움직임은 여전히 낙관적이었습니다.
비트코인 하락세는 반전의 기미를 보이지 않지만,
개미투자자들은 지속적으로 선물시장에서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4월 14일에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그 추세는 지난 7일 동안 지속 되었습니다. 비트코인은 지난 일요일 한 시점에서 16% 하락을 기록하면서 50,900달러 지점에서 사상 최대의 청산량이 발생 됬었습니다. 비트코인은 잠시 반등했지만 50일 이동 평균선에 의해 제한되었습니다. 목요일, 바이든 행정부가 상류층에 대해 자본 이득세를 43.4%로 인상할 계획이라는 뉴스가 전파되면서 비트코인은 또 다른 하락세를 촉발 시켰습니다. 가격은 이제 오케이엑스 비트코인 현물 가격 기준으로 했을 시 48,000 USDT 수준 근처에서 더 낮은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지난주 금요일 선물 시장 기준으로, 일요일의 급격한 하락 이전에, 분기 별 선물의 높은 프리미엄 상황이 불가피하게 차익 트레이더들의 매도세를 잠재적으로 촉발 시켰으며 시세에 압력을 가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현재 오케이엑스 선물 데이터에 따르면 6월 말에 만기되는 현 분기 계약 (비트코인 달러 0625)은 지수 가격 대비 약 1,500달러 또는 3%의 프리미엄으로 49,000달러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이 수치는 투자 심리 변화가 반영돼서 지난 금요일보다 50% 이상 감소했습니다.
비율 및 마진 대출 비율을 포함한 다른 지표에서는 4월 14일 대 하락장 이후 상당한 디레버리징을 보였지만
레버리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는 역 추세 상승을 보였습니다.
또한 코인 옵션 트랙 (Coin Options Track)의 데이터에 따르면 오늘 막 만료 된 약 27,000 비트코인 옵션이 있으며, 그중 가장 큰 옵션 행사가는 50,000달러에 약 2,500 풋 옵션이었습니다. 되돌아보면 비트코인은 분기 별 옵션이 만료되는 3월 말에 극심한 하락 압력을 받았지만 옵션이 인도 된 후 빠르게 반등했습니다. 같은 시나리오가 반복될지는 아직 알 수 없지만 비트코인은 강한 상승세를 보이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비트코인 공매수/공매도 비율
비트코인의 가격이 일주일 동안 하락하는 동안 공매수/공매도 비율은 빠르게 상승했고 현재 최고가인 1.76은 비트코인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4월 14일을 넘어섰습니다. 그러나 지나치게 높은 공매수/공매도 비율은 비트코인 가격이 회복 징후를 보이지 않는다면 좋아 보이지 않습니다.
공매수/공매도 비율은 공매수 포지션을 오픈 한 사용자와 공매도 포지션을 오픈 한 유저의 총 수를 비교합니다. 비율은 모든 선물 및 영구 스왑에서 집계되며 사용자의 공매수/공매도 사이는 비트코인의 순 포지션에 의해 결정됩니다.
파생 상품 시장에서는 매수 포지션이 열릴 때마다 매도 포지션이 균형을 이룹니다. 총 공매수 포지션 수는 총 공매도 포지션 수와 같아야 합니다. 비율이 낮으면 더 많은 사람이 공매도를 들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비트코인 기준
분기 별 계약 비트코인 (BTCUSD06)의 프리미엄은 지난 일요일 대 하락장 이전에 약 7%를 달리고 있었습니다.
하락하는 동안 단기적 시점으로 분기 별 지수 가격보다 훨씬 낮았음을 분명히 알 수 있습니다. 프리미엄은 주중에 약 5%로 잠시 상승 했지만 이제는 3%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그러나 비트코인 영구 스왑 펀딩 비율은 아직 마이너스로 바뀌지 않았습니다.
이 지표는 분기 별 선물 가격, 현물 지수 가격 및 베이시스 차이를 보여줍니다. 특정 시간의 베이시스는 분기 별 선물 가격에서 현물 지수 가격을 뺀 값과 같습니다. 선물 가격은 비트코인 가격에 대한 트레이더들의 투자 심리를 반영합니다. 베이시스가 양수이면 시장이 강세를 나타냅니다. 베이시스가 마이너스이면 시장이 약세임을 나타냅니다. 분기 별 선물의 베이시스는 장기 시장 추세를 더 잘 나타낼 수 있습니다. 베이시스가 높으면 (양수 또는 음수) 차익 거래의 여지가 더 많다는 의미입니다.
미결제 약정 및 거래량
일요일의 대 하락장은 역사상 가장 큰 청산으로 이어졌고 미결제 약정이 점진적으로 하락했습니다. OI는 이후 현재 22억 3천만 달러 수준으로 27% 감소했으며, 이는 시장이 현재 추세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미결제 약정은 주어진 날짜에 마감되지 않은 미결제 선물 및 스왑의 총 수 입니다.
거래량은 특정 기간 동안 선물 및 영구 스왑의 총 거래량입니다.
2,000건의 공매수 계약건과 2,000건의 공매도 계약이 개설된 경우 미결제 약정은 2,000개가 됩니다. 거래량이 급증하고 미결제 약정이 단기간에 감소하면 많은 포지션이 청산되었거나 청산이 강요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거래량과 미결제 약정이 모두 증가하면 많은 포지션이 개설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시장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ETF 추천, FANG 기반의 ETF를 알아보자 (0) | 2021.04.30 |
---|---|
외신들이 보는 한국의 주식시과 비트코인 (0) | 2021.04.28 |
머스크의 발언과 비트코인 가격의 상관관계 (0) | 2021.03.26 |
비트코인 VS 금, 10년뒤 전망은? (0) | 2021.03.14 |
비트코인 3월 전망은? (0) | 2021.03.14 |
댓글